메이저 마라톤 대회는 도로 통제를 합니다. 차 없는 8차선 도로를 달리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하지만 하루종일 통제 할 수 없기 때문에, 마라톤 완주 제한시간이란 게 생겼습니다. 10km, 하프, 풀코스 제한시간과 평균 기록도 알려드리겠습니다.
마라톤 대회 완주 제한시간은 위와 같습니다. 대회 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춘천마라톤은 가을의 전설이라고 불립니다. 이 대회 풀코스 완주 제한시간은 6시간입니다. 서울보다 차량 통행이 적기 때문에 1시간 더 여유를 줍니다.
제한시간 내에 완주하려면 최소한 아래와 같은 페이스로 뛰어야 합니다.
매년 12월 둘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하와이 호놀룰루 마라톤입니다. 참가자격도, 제한시간도 없습니다. 낮에는 덥기 때문에 아침 5시에 출발합니다.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도 매년 이 대회를 나간다고 합니다. 참고로 하루키가 쓴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러너 필독서입니다. (더보기🔍)
마라톤 대회가 처음인 분이라면 이런 걱정을 할 겁니다. 만약 제한시간 내에 못 들어오면 완주 메달과 기록증을 못 받을까요?
최소한 완주 메달은 받을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완주 제한시간은 도로 통제 때문에 만든 겁니다.
10km 마라톤은 1시간 30분을 넘기면 도로 통제를 해제합니다. 그 이후로는 인도로 올라와 마저 달리시면 됩니다.
요즘 마라톤 대회 참가 인원은 평균 5천 명~1만 명 정도 됩니다. 이 정도 인원이 한 번에 출발하면 병목현상이 발생합니다.
사고 위험도 있습니다. A~G까지 기록별, 접수별로 순차 출발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10km 마라톤 대회는 앞 뒤로 최소 1시간 정도 여유를 두고 도로를 통제합니다. 즉, 제일 꼴찌로 출발하지 않았다면 인도로 올라가 달리거나, 회송차량에 탑승하실 일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기록증은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마라톤 대회 코스 5km마다 플라스틱 발판이 있습니다. 이는 기록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만약 이 발판을 안 밟았거나, 통제가 해제돼 인도에서 달리게 된다면 기록증이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추어 러너들은 실력이 제각각이라 평균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정확한 통계 자료도 없습니다.
다만, 러닝을 7년 넘게 즐긴 제 경험을 토대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재미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10km 평균 기록
✔️ 남자: 50분~1시간 10분
✔️ 여자: 1시간~1시간 20분
하프 평균 기록
✔️ 남자 : 1시간 50분~2시간 10분
✔️ 여자 : 2시간 10분~2시간 30분
풀코스 평균 기록
✔️ 남자 : 3시간 30분~4시간 30분
✔️ 여자 : 4시간~5시간
마라톤 완주 제한시간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구간별 평균 기록도 기억해 두시면 기준을 잡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10km를 넘어 하프, 풀코스에 도전하시는 모든 러너를 응원합니다.
요즘 마라톤이 대세입니다. 10km 마라톤 대회를 접수하려고 해도 경쟁이 치열합니다. 10km 거리는 초보라도 누구나 도전해…
저는 7년째 러닝을 즐기고 있습니다. 요즘 달리기 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진 게 느껴집니다. 단순히 체력이…
요즘 한국은 러닝붐이죠? 길거리 어디서든 달리기를 하는 사람을 볼 수 있어요. 이 글을 읽고 계시는…
2025년 대한민국은 러닝붐으로 뜨겁습니다. 거리에 나오면 달리기를 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혹시 조깅과…
2025 서울하프마라톤(서하마)이 곧 열립니다. 4월 27일 일요일 서울 도심 전체를 전세 내고 달리는 대회입니다. 차를…
올해도 서울 하프마라톤이 열립니다. 날짜는 2025년 4월 27일 일요일입니다. 10K와 하프 모두 광화문광장에서 출발하지만 도착…